테이터타입 : runtime(코드를 작성할 때가 아니라, 실제 코드가 실행될때)에 데이터 타입이 결정된다.
1. 숫자
1-1. 정수
let num = 숫자;
console.log (num);
console.log (typerof num);
-> num의 데이터타입을 number(숫자)로 나타낸다. 단, "숫자"로 넣게 되면 string(문자열)으로 나온다.
1-2. 실수(float)
: 소수점포함된 숫자.
-> 정수와 똑같이 typerof를 사용하면 된다. 단 위와 동일하게 ""(큰 따옴표)를 넣게되면 string(문자열)으로 나오니 주의해야한다.
1-3. 지수형(Exp)
let num = 2.5e5; -> 2.5*10^5의 의미이다.
console. log(num);
console. log(typerof num);
-> 결과값이 25000, number로 나온다.
1-4. NaN(Not a Number)
숫자가 아닌 문자를 숫자로 나누거나 곱할 때 나타나는 문자.
ex) let num = "Hello" / 2;
console.log(num);
-> 문자 "Hello"를 숫자2로 나눌 수 없기 때문에 NaN 결과값이 나온다.
1-5. Infinity(무한대)
let num= 1 / 0;
console. log(num);
console. log(typerof num);
-> 결과값이 Infinity로 나온다. 단, -1 / 0으로 나누면 -Infinity로 결과값이 나온다.
2. 문자 : string (문자열 = 문자의 나열로 ''(작은 따옴표)나 ""(큰 따옴표)로 감싸야한다.)
2-1. 문자열 길이 확인하기
console.log(str. length);
-> 문자열의 개수가 나타난다. ex) Hello -> 5
2-2. 문자열 결합하기(concatenation)
let str1 = "Hello,";
let str2 = "world!";
let result = str1.concat(str2);
console.log(result) ;
-> 둘이 합쳐진 Hello, world!라는 결과값이 나온다.
2-3. 문자열 자르기
console.log(str. substr(어디서부터 시작하여, 몇개까지 자를지)); -> 서브스트림
ex ) let str = "Hello, world";
console.log(str. substr(7, 5));
-> 7번째 글자인 w부터 시작하여 5개 까지 자르니, world라는 단어만 남게 된다.
console.log(str. slice(어디서부터, 어디까지);
ex ) let str = "Hello, world";
console.log(str. slice(7, 12));
-> 7번째 글자부터 12번째 글자까지 자르니, 위와 똑같이 world라는 단어만 남게 된다.
2-4. 문자열 검색
console. log (str. serch("내가 찾고자 하는 글"));
ex) let str = "Hello, world";
console. log(str. serch("world"));
-> 7번째에 시작점이 존재하므로, 7이라는 결과값이 나온다.
2-5. 문자열 대체
let result = str.replace("기존에 있던 단어", "바꾸고자 하는 단어")
ex) let str = "Hello, world";
let result = str. replace("world", "JS")
console. log(result);
-> "world"에서 "JS"로 변환되어 "Hello, JS" 로 결과값이 나온다.
2-6. 문자열 분할
let result = str. split("무엇을 자를건지")
ex) let str = "apple, banana, kiwi";
let result = str. split(","):
console. log(result):
-> 배열되어있는 문자를 ,(콤마)기준으로 잘라서 결과값으로 'apple', 'banana', 'kiwi'로 분할된 결과값으로 나온다.
블리언(Boolean) : 참(true)과 거짓(false)을 나타낼 때 쓰인다. (if문에 쓰임)
let bool1 = true;
let bool2 = false;
console. log (typeof bool1);
console. log (typeof bool2);
-> 둘 다 결과값이 boolean으로 나온다.
undifined : not + define(정의하다)의 합성어로, 변수를 선언하고 값을 할당을 안할경우 나타난다.
let A;
console.log(A);
-> A를 선언하였으나, 그에 대한 값을 주지 않았기 때문에 결과값이 undifined이 나온다.
null : 값이 존재하지 않음을 '명시적'으로 나타내는 방법
let A = null;
* undifined와 null의 차이는 undifined는 정의되지 않은 값, null은 의도적으로 값이 없다는것을 명시한다는 차이가 있다.
object(객체) : key - value pair(중괄호로 감싼다.)
let person = {
name : 'choi',
age : 20
}
-> 여기서 key는 name, age로 ''없이 문자로 들어가면 된다
value pair는 choi, 20이다.
array(배열) : 여러 개의 데이터를 순서대로 저장하는 데이터 타입으로 인덱스(본인 위치에 대한 데이터)를 가지고 있다. (대괄호로 감싼다.)
let number = [1, 2, 3, 4, 5];
* 인덱스는 보통 0부터 시작한다.
-> 위의 예시에서 1은 0의 위치에 있다.
'스파르타 (React_6기) 본캠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4. 07. 22.(JavaScrip 기본 문법 정리 - 연산자) (1) | 2024.07.23 |
---|---|
2024. 07. 22. (JavaScrip 기본 문법 정리 - 형 변환) (0) | 2024.07.23 |
2024. 07. 22.(JavaScrip 기본 문법 정리 - 변수와 상수) (0) | 2024.07.22 |
2024. 07. 19.(용어정리 2차) (0) | 2024.07.19 |
2024. 07. 18.(용어정리 1차) (0) | 2024.07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