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4/07/23 5

2024. 07. 23.(JavaScrip 기본 문법 정리 - 객체)

객체 : key-value pair의 형태이며, 하나의 변수에 여려 개의 값을 넣을 수 있다. 1. 객체 생성 방법1-1. 기본적인 객체 생성 방법let person = {name : "홍길동",age : 30}; 1-2. 생성자 함수를 이용한 객체 생성 방법(this)fuction person(name, age, gender) {this. name = name;this. age = age;this. gender = gender;} 2. 접근하는 방법console. log(객체이름. 객체의 key);console. log(person. name);-> 이름이 결과값으로 출력된다. 3. 객체 메소드(객체가 가진 여러가지 기능 : Object.~~~)3-1. Object. key() : key를 가져오는 메..

카테고리 없음 2024.07.23

2024. 07. 23.(JavaScrip 기본 문법 정리 - 조건문)

조건문 - if, else if, else, switch1. if문if(true or false가 나올 수 있는 조건) {true 일 경우 실행이 된다.} 2. if~else문if(true or false가 나올 수 있는 조건){true 일 경우 실행되는 함수} else {false 일 경우 실행되는 함수} * if ~ else if ~else 문if (조건1) {main logic #1} else if (조건2)main logic #2} else {main logic #3} -> 조건 1에 해당되면 main logic #1이 실행되고, 조건 2에 해당되면 main logic #2이 실행된다.      조건 1,2 둘다 해당되지 않을 경우 main logic #3 함수가 실행된다. 3. switch : ..

2024. 07. 22.(JavaScrip 기본 문법 정리 - 함수)

함수 : input과 output을 가지고 있는 function(기능)의 단위이다.*input : 매개변수(매개체가 되는 변수)*output : return문 뒤에 오는 값 (반환값)기본형태 : fuction () {} 1. 함수선언문fuction 함수명 (매개변수) {함수 내부에서 실행할 로직}ex) 두 개의 숫자를 입력 받아서 덧셈을 한 후 내보내는 함수fuction add (x, y) {let result x+y; -> 선언하기return result; -> 결과값 나타내기} 2. 함수표현식let add = fuction (매개변수) {함수 내부에 실행할 로직}-> 위와 결과값은 같다. 함수를 호출한다(= 사용한다.)함수명() -> add(입력값)1) console. log(add(숫자, 숫자));..

2024. 07. 22.(JavaScrip 기본 문법 정리 - 연산자)

1. 더하기 연산자console. log(1+1); -> 2console. log(1+"1"): -> 11-> 더하기 연산자는 문자열이 우선이기 때문에 숫자 + 문자열의 경우 문자열로 변환된다. 2. 빼기 연산자console. log(1-1); -> 0console. log(1-"1"): -> 0 3. 곱하기 연산자console. log(2*3); -> 6console. log(2*"3"): -> 6 4. 나누기 연산자console. log(4/2); -> 2console. log(4/"2"): -> 2 5. 나누기연산자(/) vs 나머지 연산자(%)console. log(5/2); -> 2.5console. log(5%2): -> 1 6. 할당연산자(assignment)6-1. 등호 연산자(=) : 오..

2024. 07. 22. (JavaScrip 기본 문법 정리 - 형 변환)

형 변환 : 형태를 바꾸는 것으로 명시적 형변환, 암시적 형변환이 있다.1) 암시적 형 변환 : 의도하진 않았지만 자동으로 바뀌는 것.2) 명시적 형 변환 : 의도적으로 변경하는 것. 1. 암시적 형 변환1-1. 문자열let result = 1+"2";console. log(result);console. log(typeof result);-> 결과값으로 12, string이 나온다. 숫자와 문자를 더했는데 암시적으로 숫자 1도 문자열로 바뀌어 결과값이 나온걸 볼 수 있다.(숫자+문자열 -> 문자열로 변환) let result = "1"+true;console. log(result);console. log(typeof result);-> 결과값으롤 1true, string이 나온다. 문자열 + boolea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