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4/07/22 2

2024. 07. 22.(JavaScrip 기본 문법 정리 - 데이터타입)

테이터타입 : runtime(코드를 작성할 때가 아니라, 실제 코드가 실행될때)에 데이터 타입이 결정된다. 1. 숫자1-1. 정수let num = 숫자;console.log (num);console.log (typerof num);-> num의 데이터타입을 number(숫자)로 나타낸다. 단, "숫자"로 넣게 되면 string(문자열)으로 나온다. 1-2. 실수(float) : 소수점포함된 숫자.-> 정수와 똑같이 typerof를 사용하면 된다. 단 위와 동일하게 ""(큰 따옴표)를 넣게되면 string(문자열)으로 나오니 주의해야한다. 1-3. 지수형(Exp)let num = 2.5e5; -> 2.5*10^5의 의미이다.console. log(num);console. log(typerof num);->..

2024. 07. 22.(JavaScrip 기본 문법 정리 - 변수와 상수)

1. 변수와 상수변수 : 기억하고 싶은 값을 메모리에 저장하고, 그 메모리에 저장된 값을 읽어들어서 재사용하는 것 2. 변수의 5가지 주요 개념기본 형태 : var 변수 이름 = "변수 값";변수 이름 : 저장된 값의 고유 이름변수 값 : 변수에 저장된 값변수 할당 :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행위 (변수이름 = 변수 값)변수 선언 :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 컴퓨터에 알리는 행위 (var 변수 이름)변수 참조 : 변수에 할당된 값을 읽어오는 것 (a = 10, b = 20이다.)* 선언을 먼저하고, 할당을 할 수도 있다var myVar;(선언)myVar = 3;(할당)위의 글은 var myVar = 3;과 같다. 3. 변수를 선언할 수 있는 3가지 방법 : var, let, const차이점1) var는 같은 ..